완벽하고자 하는 노력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이 역시 과하면 독이 되기 마련. ‘완벽주의’는 완벽에 대한 일종의 극단적인 추구로, 완벽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에 비현실적이고 과장된 공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정신을 위해 조심해야 할 완벽주의의 함정에 대해 알아볼까요
한자로 ‘완벽’은 아무런 흠이 없는 옥을 뜻하는 단어로 옥의 티를 뜻하는 단어인 ‘하자’와 대척점에 있는 말입니다. 무슨 일을 하든 하자 없는 완벽함을 추구하는 건 우리 자신과 세상을 발전시켜온 원동력이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그 외에 수많은 정밀기기들은 모두 원래보다 더 적은 실수, 더 작은 결함을 끊임없이 추구해온 결과로 얻어진 것들입니다.
우리는 내가 운전하는 자동차가 결함 없이 완벽하게 작동하기를 바라며, 병원에서 의사와 간호사가 아무런 실수 없이 완벽하게 치료를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목숨마저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내가 이용하는 버스와 지하철이 고장 없이 완벽하게 작동하고, 내가 일하고 거주하는 건물에 아무런 하자가 없이 완벽하기를 바랍니다.
즉, 완벽은 안전과 안심을 보장하는 조건이기도 합니다. 완벽을 추구하는 태도는 인간관계나 사회생활에서도 중요합니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인 신뢰는 결국 얼마나 약속을 잘 지키느냐에 달려있습니다.
모든 약속을 완벽하게 지키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우리가 신뢰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마찬가지로, 도덕규범이나 규칙, 혹은 법을 틀림없이 지키려는 사람들 덕분에 사회는 안정적으로 질서정연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완벽을 추구하려는 노력은 모두 바람직한 일입니다. 비록 그 완벽이라는 조건이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이상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조금씩 더 나아갈 목표로서 완벽은 매우 중요한 가치입니다.
일을 완벽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일은 필요로 하는 곳에 필요한 시점에 끝내야 의미가 있습니다. 약속은 지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약속을 지킬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런 경우에는 양해를 구하거나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도덕규범이나 규칙은 지켜야 하지만, 그것들은 결국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사람보다 규범이나 규칙이 우선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일을 완벽하게 마칠 수 없다면 차라리 처음부터 그 일을 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약속도 마찬가지입니다. 불합리한 약속에 매달릴 때 우리는 불필요한 노력과 자원을 낭비하게 됩니다. 사람을 생각하지 않고 법과 규칙만을 내세우는 권력은 무자비한 폭력이 되기도 합니다.
이렇듯, 완벽은 중요한 가치이지만, 완벽에만 집중하고 그 반대 명제들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때 우리의 삶은 경직되고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특히 완벽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성향을 ‘강박성 성격장애’라고 진단합니다. 강박성 성격장애의 배후에는 두려움이 깔려있습니다.
그들은 완벽함이 바람직한 가치라서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에 비현실적이고 과장된 공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모든 일을 차분하게 계획하고 준비해서 완벽하게 해내는 사람들은 강박성 성격장애자가 아닙니다. 강박성 성격장애자들은 완벽하지 않으면 죽음이라고 생각하기에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들 입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우리가 사랑할 사람을 찾는 이유는 완벽하기 때문이 아니라 불완전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나의 장점들은 반드시 그 뒤에 결점들과 동전의 양면처럼 연결되어 있으며, 꼼꼼한 사람은 답답하고, 과감한 사람은 무책임하며, 활달한 사람은 불안정하기 쉽습니다.
반대로 우울한 사람은 그만큼 냉철하고, 겁이 많은 사람은 신중하다. 내 단점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내 장점을 확인하는 것이고 결국 나 자신을 인정하는 길입니다. 나 자신을 잘 알고 인정하는 것이 희망을 찾는 첫 번째 발걸음이라는 사실을 조금은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부족함이나 결함은 피할 수 없는 필연일 뿐만 아니라, 우리를 성장시키는 동력원이기도 합니다. 내가 부족하고 남들보다 못한 존재라는 사실의 인식이 열등감입니다. 이 열등감을 받아들이는 건 비참하고 수치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 사실을 인정해야 진정한 노력이 시작됩니다. 노력을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하나씩 채워가며 우리는 근면성과 자신감을 키웁니다. 반면에 결함과 실패의 경험이 적을수록 자신의 부족함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집니다.
실패 없는 성공이 반복될수록 자신감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적이 나쁜 학생들보다 처음부터 전교 1등만을 해온 완벽한 학생들의 정신건강이 더 취약합니다.
그런 학생들은 자신이 1등을 못하면 완벽한 실패자가 된다는 잘못된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 반면 꼴찌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노력을 통해 자기 등수를 올려온 학생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다음번엔 그보다 더 잘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잊지 마시길 바랍나디. 우리가 성장하는 과정은 노력을 통해 부족함을 채워가며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입니다. 완벽한 존재에게만 인정받을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어제보다 나은 존재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면 누구나 완벽하게 존중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출처) 대한체육회/2018년 05월호/스포츠하이라이트/스포츠칼럼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완벽주의의 함정)